주류 학계에서는 아틀란티스에 대해서 굉장히 회의적이다. 그레이엄은 아니지만, 이번 에피소드에선 미국 마이애미 연안의 비미니 거석으로 부터 시작된다.
비미니 거석은 비미니 로드라고 불리는 데, 거대 거석 구조물이다. 도로같이 생겨서 로드라는 단어가 붙었고, 주류학계에서는 3천 년 전에 자연적으로 포메이션 됐다고 주장하지만, 그레이엄은 다르게 생각한다.
다큐에 나오는 전문가 들은 말한다. 이런 직각 모양은 자연적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고. 돌들은 놀랍도록 선이 곧고 평행을 이룬다. 대칭을 이룬 다는 뜻이다. 이런 거석물을 어떻게 자연적으로 만들어졌다고 할 수 있을까 그레이엄은 의문을 재기한다.
구석구석 누군가 넣어 놓은 주춧돌이 있으며, 거석 들을 수평으로 놓으려는 노력이 보인다. 또한 자연적으로 만들어 졌다면, 주변에도 비슷한 구조의 거석들이 있어야 하는데, 전혀 없다는 것이다.
빙하기 시절에는 해수면이 더 낮았기에, 비미니 로드가 있는 바하마 제도는 지금 같은 퇴적지 보단 거대한 섬을 이뤘고, 이 섬은 10만 년 이상 존재했다고 한다.
또한 그레이엄은 오래 된 지도들을 들여다보았는데, 그중에서 피리 레이스 제독의 지도를 참고했는데, 피리 레이스의 지도는 당시 최근이었던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지도까지 합쳐서 총 20개의 옛 지도를 참고했다고 기술해 놓았다.
특이하게도, 지도에는 비미니 로드가 있는 곳인, 옛 바하마 제도의 섬 모양의 지도가 있고, 비미니 로드로 추정되는 그림도 그려져 있다. 왜 비미니 로드로 추정 되냐면 당시에는 지도 위에 그 지역을 대표하는 문자나 그림을 그렸는데, 예를 들면 서아프리카에는 코끼리를 그려 놓는 다던가, 근데 바하마 제도 위에는 비미니 로드 같이 생긴 그림이 올라가 있기 때문이다. 그레이엄은 아마 피리 레이스가 고대의 지도를 참고했던 것으로 추정한다.
또한 이 피리 레이스 지도에서 수상한 점이 또한 포착 되는데, 그레이엄은 이게 남극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주류학계에서는 남극은 1820년대 이후로나 발견이 됐다고 하고, 여기서 모습은 그냥 쿠바나 남아메리카 대륙을 잘못 표현했다고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레이엄은 그렇지하고 16세기 다른 지도를 봐도 피리 레이스와 똑같이 그린 지역이 있고 이곳을 남쪽의 땅이라고 써놓았다. 그레이엄은 이 독특한 지역이 실제 남극을 상징하며, 빙하기시대 남극은 해수면이 훨씬 낮아 피리레이스와 다른 16세기 지도의 그려진 것처럼 남극이 그렇게 지도상에서 표현 됐다는 것이다.
아틀란티스는 플라톤에 의해 언급 되었고, 플라톤이 이집트를 방문했을 당시 들은 이야기라고 한다. 당시 아틀란티스는 대홍수로 인해 멸망했다고 전해지고 지금도 다들 그렇게 알고 있다. 그레이엄은 비미니 로드가 아틀란티스라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그러나 비미니 로드나 바마하 제도가 빙하기 마지막의 대홍수 이전 초 고대 문명을 증거 한다고 믿는다.
결론
그레이엄의 주장을 다시보자. 그는 빙하기 끝의 대홍수 이전 초 고대 문명이 있었으며, 대홍수로 인해 파괴되었지만, 생존자가 세계로 뻗어나가 설화 속에서 전설 속에서 각 수렵채집인 인류에게 선진 기술을 전파했다고 한다. 그 예로 전 세계에 피라미드가 발견되는 이유라고 한다. 이들은 건축기술, 법, 천문학 등의 지식을 인류에게 알려주었다.
비미니 로드는 바마하 제도의 있는 인공 거석으로 추정 된다. 바마하 제도는 미국 마이애미 근처에 위치에 있는데, 빙하기 시절에는 사실상 거대한 섬으로 존재했고, 남쪽으로는 남극이 있었다.
옛 고대의 지도가 빙하기 시절 남극의 위치를 정확히 알고 표현해 놓았다. 원본은 지금 존재 하지 않지만, 이것은 16세기 피리 레이스가 참고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고대의 지도가 빙하기 시절 남극을 정확히 표현해 놨다면, 당시의 지도를 만들 만한 기술 이 있었고 즉 그때 당시 그런 걸 기록할 수 있는 문명이 존재했다는 이야기로 귀결된다.
'흥미로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리우스를 지목 하는 고대 거석들 (넷플릭스 고대의 아포칼립스 3화) (0) | 2023.02.21 |
---|---|
빙하기 속 초고대문명의 유산 (넷플릭스 고대의 아포칼립스 2화) (0) | 2023.02.10 |
빙하기에 문명이 존재했다 (넷플릭스 고대의 아포칼립스 1화) (0) | 2023.02.08 |
댓글